자연

약혐) 오싹기괴 냉혹한 쥐며느리의 세계...

브금

https://www.youtube.com/watch?v=tEzYsaLm7nw

 

 

썸넬.png

 

 

 

 

3.png

 

 

약 3억년 전인 고생대 석탄기 시절의 바다에, 키틴질 외골격과 분절된 사지를 가진 채 바다를 누비는

 

 

0.png

 

 

 등각류라는 녀석들이 처음 등장했다. (짤은 비교적 이들의 원시적 형태를 간직한 녀석들)

 

 

 

2.png

 

 

갑각아문(=갑각류) 연갑강에 속해있던 이들은, 같은 갑각류이자 연갑강에 속하며 우리가 즐겨먹는 친구들인 새우나 게, 가재와는 먼 친척뻘이라 할 수 있다.

 

 

1.png

 

이들은 드넓은 해양 생태계 속에서 상당히 다양한 형태로 적응방산하는데,

 

 

 

어떤 녀석들은 바다 속에서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물고기들에 빌붙어 사는 생존방식을 터득했다.

 

 

 

 

4.png

5.png

 

 

이렇게 비교적 평범한 '흡혈' 전략을 취한 녀석들은 그냥 물고기의 비늘에 들러붙어 피를 빨아먹거나 살을 파먹는데,

 

 

조금 창의적인 녀석들은 대신 더 소름끼치고 영리한 전략을 구사한다.

 

 

 

6.png

 

물고기의 혀에 달라붙어 썩게한다음 숙주의 혀뿌리 근육에 착 달라붙어 혀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다.

 

 

8.png

 

 

 

유생단계엔 모두 수컷인 이들은 숙주 물고기를 찾아 바다 속을 유영하는데,

 

 

 

마침내 적절한 숙주를 찾아내면 아가미에 달라붙어 그대로 수컷 상태를 유지하거나,

 

 

 

9.png

 

 

혀에 달라붙고 탈피하여 헤엄치는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는 고정된 암컷이 된다.

 

 

 

암컷은 이 상태로 계속 숙주의 혈액이나 점액을 빨아먹는다.

 

 

 

7.png

.

 

이들은 물고기 혀의 기능을 완전히 대신할 수 있어서

 

 

물고기들은 이들에게 감염된 이후에도 그럭저럭 살아가지만,

 

 

10.png

 

 

둘 이상의 개체에게 중복감염된 개체는 대개 저체중이며, 혈액 손실로 인한 빈혈이나 상처로 인한 병변, 영양실조 등으로 인해 사망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숙주가 사망하면 이들은 혀에서 분리돼 시체를 뜯어먹기 시작하는데, 이후의 이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에 대해선 아직 많은 부분이 베일에 싸여있다.

 

 

뀨.png

 

 

인간에게 어획된 물고기 중에서도 혀가 이들로 대체된 불쌍한 녀석들이 종종 발견되는데, 

 

 

사실 이들의 끔찍한 외모와 생활양식 때문에 좀 (많이) 혐오스럽긴 해도, 갑각류의 일종이니만큼 사람이 먹어도 별일은 없을 것이고, 맛

자체도 생각보다 먹을만할 것이다.

(본인은 안먹어봐서 모름)

 

 

참고로 양식장에서도 감염되면 물고기들 크기가 줄어들어서 퇴치대상인데,

 

어부들은 그냥 혀에 달라붙은 녀석들을 손으로 잡고 뽑아버리는 방식으로 치료한다고 한다.

(물고기 속에 사는 애들이라 화학약품으로 어떻게 처리할 수가 없나봄.)

 

 

그런데 등각류 중에는 생활방식말고도 아예 서식지 자체가 달라진 녀석들도 있었다.

 

일부는 바다가 아닌 담수에 적응해 강바닥을 기어다니기 시작했으며,

 

 

11.png

 

 

바다 깊숙한 곳의 심해로 흘러들어가 '심해 거대화' 현상을 겪은 녀석들은 최대 50cm에 이를 정도로 거대해졌다.

 

 

등각류 중에서 가장 작은 축에 속하는 녀석들이 겨우 0.5mm 크기에 불과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ㅅ.png

(얘네도 5mm 정도의 애들이니 얘네보다 10배 더 작은 미니 등각류도 있다는 것)

 

 

 

100배나 거대한 바튀노무스속(Bathynomus)의 이 녀석들은 그야말로 초거대 등각류인 셈이다.

(참고로 영장목에서 가장 작은 녀석들은 피그미마모셋Cebuella pygmaea이라는데, 얘네가 15cm 전후라고 함. 인간은 대충 10배 정도 큰 것 같으니, 대충 17m 짜리 영장류가 있는 느낌으로 크기 차이가 난다는 것임...)

 

 

그러나 어쩌면 가장 독특한 축에 속하는 녀석들은 따로있었으니,

 

 

ㅅ (1).png

2억 년 동안의 물 속 생활을 청산하고 약 1억 년 전에 처음으로 육지에 상륙한 위대한 벌레들이 바로 그들이다.

 

 

심해에 사는 초거대등각류들을 마치 크기만 축소해서 그대로 육상에 옮겨놓은 것처럼 생긴 이녀석들 중 일부가 바로,

 

ㅅ (3).png

우리가 아는 '쥐며느리', 즉 쥐며느리아목에 속하는 꼬물거리는 녀석들이며,

 

 

 

쥐며느리,

 

 

13.png

 

 

콩벌레,

 

 

12.png

 

갯강구 모두 쥐며느리아목에 속하므로,

 

 

전부 '쥐며느리'라고 부를 수도 있다.

 

 

쥐며느리의 맛은 이들이 갑각류인데다가,  '땅새우'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는 불쾌한데,

 

 

아주 진한 소변의 향과 맛이 난다고 한다. 

(진짜 안먹어봤으니 오해하지 말것. 소변과 쥐며느리 양쪽 모두를 말하는 것이다 물론.)

 

 

이런 거지같은 맛이나는 이유는 요산 농도가 높기 때문이라 한다.

 

 

 

끗.

 

 

 

 

참고무넌

Brusca, R. C., & Gilligan, M. R. (1983). Tongue Replacement in a Marine Fish (Lutjanus guttatus) by a Parasitic Isopod (Crustacea: Isopoda). Copeia, 1983(3), 813–816.

Sfenthourakis S, Taiti S (2015) Patterns of taxonomic diversity among terrestrial isopods. In: Taiti S, Hornung E, Štrus J, Bouchon D (Eds) Trends in Terrestrial Isopod Biology. ZooKeys 515: 13–25.

Parker, D., Booth, A.J. The tongue-replacing isopod Cymothoa borbonica reduces the growth of largespot pompano Trachinotus botla . Mar Biol 160, 2943–2950 (2013). 

Horton, T., & Okamura, B. (2001). Cymothoid isopod parasites in aquaculture: a review and case study of a Turkish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and sea bream (Sparus auratus) farm. Diseases of aquatic organisms, 46(3), 181–188.

Mladineo I. (2003). Life cycle of Ceratothoa oestroides, a cymothoid isopod parasite from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and sea bream Sparus aurata. Diseases of aquatic organisms, 57(1-2), 97–101.

 

 

 

 

 

 

 

 

 

 

 

 

 

* 본문을 유튜브 영상으로도 만들어봤는데, 누가 읽판에는 링크다는거 허용된다고 해서 가져와봤어.

동물영상은 (귀여운 동물들도) 주로 이 채널에 올릴거 같아.

 

https://youtu.be/U4oADEo3G8s?si=7w9Iwen-RD70BZB_

 

 

 

36개의 댓글

3 일 전

유게에 있는거 퍼왔냐!

할라 해뜨니 글쓰니여꼬연

0
3 일 전
@년째연봉고정
1
2 일 전

쥐며느리라니 넘 아하자너

0
2 일 전
@킴취워리오

쥐장인어른

0
2 일 전
@킴취워리오
0

재밌어!

0
2 일 전
@유진유나여름지수예지윈터
0
2 일 전

으 여신님생각나서 글 내림ㅋㅋㅋ 왜케 징그럽지...

0
2 일 전

개미들이랑 쥐며느리 공생하는거 보면 잼남

0
2 일 전

먹어본거 다 앎 ㅅㄱ

0
2 일 전
@난놈
0
2 일 전

공벌레는 귀여운데 쥐며느리는 좀..

0
2 일 전
@장의추억

둘이 같은거야

1
2 일 전
@00원짜리

공벌레는 쥐며느리가 맞지만 쥐며느리는 공벌레가 아니라고 하네용 (쥐며느리가 더 큰 개념)

 

여담이지만 국명(한 나라에서 붙이는 이름)은 이런경우가 많아요 햄스터는 비단털쥐아과의 총칭인데 또 비단털쥐아과 안에 비단털쥐속이 있고, 또 비단털쥐라는 종이 있습니당. 그래서 모든 햄스터는 비단털쥐라고 부를 수 있지만 골든햄스터(황금비단털쥐속)는 넓은 의미에서는 비단털쥐지만 비단털쥐속의 비단털쥐들하고는 속부터가 다릅니당

0
2 일 전
@식별불해

개빡치네?

0
2 일 전
@00원짜리
0
2 일 전
@00원짜리

학명은 분류군에 따라 구별할 수 있도록 공식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국명은 그럴수가 없는지라... ex. 까마귀'과'

 

까마귀과 안에 속하는 친구들은 '까마귀'라고 부를 수 있고 또 실제로 까마귀 국명이 붙은 친구가 많은데 까치도 까마귀과에 속하지만 까마귀라고 안부르죠... (까마귀과 까치속)

0
2 일 전
@식별불해

요런걸 민속 분류라고 하지

0

기갤여신 ㄷㄷ

0
2 일 전

초딩때 쉬는시간에 운동장 나가면 쥐며느리 보이는 족족 손가락으로 눌러죽이고 레어템 사마귀는 문방구에 파는 천원짜리 비비탄총으로 머리만 쏘고 다님 진짜로 맞으면 머리만 터져서 없어지는데 쾌감 지렸음..

0
2 일 전
@rose12
0

바다속의 바선생ㄷㄷ

0
1 일 전
@프린세스오브웨일즈
0
2 일 전

저거 ㅈㄴ큰 심해 등각류 유튜브보니까 생각보다 맛 괜찮다던데

 

수율은 별로라고 하긴 함

0
1 일 전
@조회서발사대
0
2 일 전

엑시구아 여신님

0
2 일 전

쥐며느리가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오면서 요산수치농도가 높아져야만 하는 이유가 있었을까요?

높지않았다면 메뚜기처럼 간식이 될수도 있었을텐데

0
2 일 전

헌터팡 보면 갯강구 먹는거 있더라

0
2 일 전

이거보니 수년전에 그림으로 설명하던거 기억나네 ㅋㅋ

0
2 일 전

재밌게 몰입해서 보다가 아 맞다 쥐며느리 글이었지 설마 쥐며느리에 무슨 비밀이..? 하면서 두근거리는데 글이 끝나따

0
1 일 전

쟤네랑 키스하면 혓바닥 생물과 키스하면서 한번에 2명과 이중키스할 수 있는거임?

0
1 일 전

어렸을때 공벌레 갖고 놀던 기억 나네. 나중에 커서 애 그림책 읽어주면서 공벌레와 쥐며느리의 차이를 알았지.

0

저 심해 거대화된 친구가 베트남에서 유명한 갑각류인가? 맛있다던데

0
1 일 전

미식가 개붕이 추천

0
1 일 전

친그는 어릴때 콩노양으로 만들어서 먹었대

듣고 미친놈인줄

0
9 시간 전

쥐며느리 단어의어원이뭘까 쥐랑 무슨관계가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487 [기타 지식] 2024년 방콕 광역권 지도 업데이트 1 쿠릭 2 5 시간 전
12486 [기타 지식] 조만간 유럽행 항공권 가격이 비싸질 예정인 이유 7 K1A1 7 11 시간 전
12485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낮에는 유능한 소방관에서 밤에는 연쇄 살인... 4 그그그그 5 14 시간 전
12484 [역사] 삼국지 장각 시점에서 본 황건적의 난 식별불해 3 1 일 전
12483 [호러 괴담] 펌, 번역) 이상한 AI 9 대다크 8 1 일 전
12482 [과학] 100억 달탐사 큐브위성 개발이 불가능했던 이유에 대하여 9 why 18 1 일 전
12481 [기타 지식] 감정을 표현하는 434가지 단어 8 Infinity 1 1 일 전
12480 [역사] 2024 제1회 안동문화상 문학분야 공모전 2 따스땅 0 1 일 전
12479 [자연] 약혐) 오싹기괴 냉혹한 쥐며느리의 세계... 36 식별불해 32 3 일 전
12478 [역사] 삼국지 장각은 거대한 음모의 희생자였을까 2 식별불해 8 3 일 전
12477 [기타 지식] 뻔한 이야기지만 결국엔 맞는 이야기 10 Infinity 2 3 일 전
12476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매춘부만 노렸던 서퍽의 교살자 4 그그그그 3 4 일 전
12475 [기타 지식] 칵테일에 소금물을 넣어보세요, 살린 솔루션편 - 바텐더 개붕... 6 지나가는김개붕 6 4 일 전
12474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괴수 1부 15 Mtrap 6 4 일 전
12473 [기타 지식] 영원한 2등, 콩의 술 아르마냑 편 - 바텐더 개붕이의 술 이야기 2 지나가는김개붕 3 4 일 전
12472 [역사] 삼국지 황건적 두목 '장각'은 한낱 사이비 교주였을까 4 식별불해 9 5 일 전
12471 [기타 지식] 손해를 떠넘기는 사람들과 감당할 수 없는 사회 16 키룰루 25 6 일 전
12470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악취로 가득 찬 집, 그 안에 숨겨진 끔찍한 ... 5 그그그그 7 7 일 전
12469 [기타 지식] 더 디비전2 인기 TOP 4 빌드 소개 43 Mtrap 4 8 일 전
12468 [역사] 삼국지 황건의 난이 로마 제국 탓인 이유 13 식별불해 8 8 일 전